양도소득세 하나의 계약으로 2건 이상의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가액 안분
페이지 정보

본문
하나의 계약으로 양도가액을 확정하고, 양도계약서를 작성하는 경우로서 2개 이상의 부동산(2필지 이상의 토지를 양도하면서 필지별 개별공시지가가 다른 경우 포함)을 동시에 양도하는 경우 각각의 부동산 또는 필지별로 양도가액을 구분하여 계산하여야 하며, 이 경우 실지 거래가액이 불분명한 경우 양도 당시 양도가액에 다음의 양도 물건별 개별공시지가(토지), 개별주택가격 및 공동주택가격(주택), 국세청 기준시가에 의한 가액으로 안분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1) 토지
개별공시지가(국토교통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가 없는 토지의 가액은 납세지 관할 세무서장이 인근 유사토지의 개별공시지가를 고려하여 평가한 금액으로 한다.
2) 건물
건물[아래 3)과 4)의 건물은 제외한다]의 신축가격, 구조, 용도, 위치, 신축연도 등을 고려하여 매년 1회 이상 국세청장이 산정, 고시하는 가액으로 한다.
3)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이에 딸린 부수토지 포함)에 대해서는 건물의 종류, 규모, 거래상황, 위치 드을 고려하여 매년 1회 이상 국세청장이 토지와 건물에 대하여 일괄하여 산
정,고시하는 가액으로 한다.
4) 주택
주택은 개별주택가격 및 공동주택가격(국토교통부 ->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으로 한다.
예제) 건물 및 토지의 양도가액 계산
1. 일괄양도가액 : 5억원
2. 건물분 국세청 기준시가 : 1억원
3. 토지분 개별공시지가 : 3억원
건물양도가액 : 5억원 * 1억원/(1억원 + 3억원) = 1.25억원
토지양도가액 : 5억원 * 3억원/(1억원 + 3억원) = 3.75억원
- 매매계약서에 토지 및 건물가액의 구분이 기재되었다 하더라도 불분명한 것으로 보는 경우
양도가액 또는 취득가액을 실지거래가액에 의해 산정한 경우로서 토지와 건물 등을 함께 취득하거나 양도한 경우 그 토지와 건물 등을 구분 기장한 가액이 기준시가 등에 의하여
안분한 가액과 100분의 30 이상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토지와 건물 등의 가액 구분이 불분명한 때로 보아 공시지가 및 기준시가 등으로 안분하여야 한다(소득세법 제100조제2항및
제3항)
- 취득가액 안분
하나의 계약으로 양도가액을 확정하고, 양도계약서를 작성하는 경우로서 2개 이상의 부동산을 동시에 양도하는 경우 각각의 부동산 또는 필지별로 취득가액을 구분하여 계산하여
야 하며, 실지거래가액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취득가액에 취득 물건별 개별공시지가(토지), 개별주택가격 및 공동주택가격(주택), 국세청 기준시가에 의한 가액으로 안분하여 계산
하여야 한다(소득세법 제100조제2항)
- 감정평가액으로 안분 계산하여야 하는 경우
토지건물 및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의 양도로 실지거래가액에 의한 양도차익을 계산함에 있어서 취득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인정 또는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매매사례
가액, 감정가액, 환산가액을 순차적으로 적용한 금액으로 하는 것이며,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의 직전 과세기간 개시일부터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의 종료일까지 감정
평가업자가 평가한 감정가액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가액에 비례하여 안분 계산한 금액으로 하여야 한다. (소득세법시행령 제166조제6항,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64조)
- 이전글개인사업자가 사업용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 20.10.21
- 다음글자산의 취득 및 양도시기(소득세법 집행기준 98-162-1) 20.10.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